유익할까?

넛지(Nudge)

아트리(喆) 2010. 3. 19. 18:05

부드러운 방법으로 상대에게서 원하는 선택을 이끌어내는 방법, 넛지(Nudge).
넛지는 선택을 하도록 유도하는 사람이나 선택하는 사람 모두 수고를 덜하면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경제학의 화두가 되고 있다. 넛지의 방법을 응용하면 습관과 버릇을 들여야 하는 미취학 아동이나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ㆍ교육적인 넛지의 예
거실을 서재로 꾸며 자연스럽게 독서 분위기를 만드는 것은 넛지다. 그러나 만화책을 금지하거나 하루에 책을 한 권씩 읽으라고 정해주는 것은 넛지가 아니다.
넛지가 뭔가요?
① 팔꿈치로 슬쩍 찌르다.
② 주의를 환기시키다.
③ 타인의 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
넛지란?
강요나 금지 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간단하고 부드럽게 상대방이 원하는 선택을 하게 만드는 행위를 뜻한다. 넛지에 따라 선택하면 그에 따라 행동하게 되는 사람이 큰 반발심을 느끼지 않게 되고, 선택에 따른 비용과 수고를 덜 수 있다. 명령이나 지시 형태는 넛지가 아니다. 이것을 교육에 접목시키자면, 엄마가 계속 따라다니며 아이를 가르치거나 다그칠 필요 없이 간단한 ‘선택 설계’를 함으로써 아이에게 교육적인 행동을 하도록 만들 수 있다.
왜 아이 교육에 넛지가 필요할까?
지금까지 써본 방법의 온갖 부작용들 때문에. 혹시 이런 일로 고민해보지 않으셨나요?
1 아이가 성적이 오를 때마다 장난감을 사주겠다고 했더니 장난감 비용이 많이 들뿐더러 사달라는 장난감도 점점 비싸진다.
2 아이가 엄마의 잔소리에 익숙해져 이제 웬만한 말에는 꿈쩍도 안 한다.
ㆍ장난감 비용을 지불하거나 잔소리를 계속해야 하는 엄마도 스트레스를 받고, 아이 또한 엄마의 요구와 잔소리에 치이고 반발심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 아직 어린 아이들에게는 좀 더 부드러운 방법으로 교육적인 효과를 이끌어내야 한다.
좀 더 효과적이고 교육적인 넛지 만들기
당장 이득이 보이는 선택_ ‘문제집 한 권을 다 풀면 성적이 올라갈 거야’라는 말보다 ‘두 페이지를 풀 때마다 원하는 컴퓨터 오락 10분을 할 수 있어’라는 말이 달콤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당장 손에 잡히는 이득을 제시할수록 아이들은 잘 따라온다.
빈도를 적당하게_ 꼭 필요한 말도 지나치게 자주 하면 귓등으로 흘려 듣게 된다. 마치 노트북의 배터리 잔량이 줄어들면 뜨는 경고문이 너무 자주 나오면 무시하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 넛지를 이용한 말이나 행위는 적당한 빈도로 활용해야 한다.
실수를 덜하도록 설계하기_ 반복되는 실수를 덜하도록 행동을 유도하면 아이에게 매번 잔소리를 하는 것보다 좋은 효과를 가져온다. 예를 들어 열쇠를 잃어버린다고 매번 혼을 낼 것이 아니라 열쇠로 목걸이를 만들어 아이 목에 걸어주면 아이의 실수를 줄일 수 있다.
재미있는 넛지의 대표적인 예
공항 소변기 안의 스티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스키폴 공항 남자 화장실 소변기에는 파리 모양의 스티커가 붙어 있다. 소변기 바깥으로 오물이 튀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인데, 스티커를 붙이는 간단한 방법으로 소변이 소변기 바깥으로 튀는 양이 확 줄었다. 그동안은 소변을 조준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는데 스티커가 눈에 띄면서 사용자들이 자연스럽게 파리 모양에 집중, 조준하기 시작했기 때문.
장기 기증 옵션
설문조사를 할 때는 장기 기증에 찬성하는 사람이 97%나 된다. 그러나 절차가 귀찮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장기 기증을 원한다고 운전면허증에 스티커를 붙이는 사람은 42%에 불과하다. 그런데 장기 기증 동의 방법을 바꿔, 모든 사람이 장기 기증에 동의한다고 가정하고 원하지 않는 사람만 동의서를 폐지하게 하는 ‘옵트 아웃’ 방법을 적용하면 장기 기증 동의율을 82%까지 올릴 수 있다. 따로 장기 기증을 독려하는 캠페인을 벌이지 않아도 말이다.
디설피람과 쓴맛 매니큐어
디설피람은 알코올 중독 치료제 중 하나다. 이 약을 먹으면 알코올을 섭취하는 순간 숙취를 느끼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금연을 할 수 있는데, 실제로도 니코틴 패치나 금연초 등의 방법보다 훨씬 효과가 좋다. 또 손톱을 씹는 버릇이 있는 사람을 위해 쓴맛이 나는 매니큐어도 발명됐다. 누군가 볼 때마다 잔소리를 하는 대신 물어뜯는 순간 깜짝 놀랄 만한 쓴맛을 느끼기 때문에 저절로 손톱을 뜯는 습관을 고칠 수 있다.
사람들에게 어떤 행동을 하라고 강요하거나, 하지 말라고 금지하거나, 또는 힘들여 캠페인을 하지 않더라도 시스템을 약간 바꾸거나 손쉬운 방법을 알려줌으로써 원하는 선택을 하게 만들 수 있다. 아이들을 교육할 때도 강요나 금지 방법을 사용하기보다 자연스럽게 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선택 설계를 똑똑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 것.